Distance vector 프로토콜은 전통적으로 Classfull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 할 때 mask 정보를 교환하지 않는다. EIGRP 라우팅 프로토콜은 Distance vector 계열 프로토콜 중의 하나이며(RIP,IGRP 등) 기본적으로 Classfull로 네트워크 정보를 자동 요약하여 전달을 한다. Auto-Summary의 장점은 더 작은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서 라우팅 업데이트시에 더 적은 bandwidth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Performance를 향상시켜 준다. 또한 EIGRP 라우팅 프로토콜은 VLSM/CIDR을 지원하여, summarization 하지 않고 실제 네트워크의 Subnetmask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, 수동으로 summarization 할..
OSPF routing Protocol 에는 Metric-type 1 과 Metric-type 2의 두가지가 있다. 정의하면Metric-type 2는 Metric 값을 외부의 default cost 의 값을 그대로 학습받는 것이고Metric-type 1는 학습받은 외부의 default cost 값과 내부의 cost 값을 함께 계산하는 것이다. 위와 같은 구성에서 각각에 맞는 protocol로 라우팅을 한 후 R2에서 재분배를 해보자.그리고 R4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살펴보면. R2에서 재분배된 Rip의 라우팅 정보가 E2 type의 cost 값 20으로 학습 받은 걸 알 수 있다. (참고로 R1의 192.168.13.1/24 ,192.168.14.1/24의 네트워크 구간은 R2로 통신이 되지 않게 설정해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routing
- Python
- NTOP
- switch
- Elk
- ccie
- Network
- pyqt
- EVE-ng
- nms
- Logstash
- ubuntu
- ccna
- CentOS
- Ntopng
- GUI
- 파이선
- ELASTIC
- CISCO
- maximum shards open error
- ldap
- Linux
- Elasticsearch
- 코딩
- Security
- EVE
- 개발
- ccnp
- Kibana
- Fortigat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