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Distance vector 프로토콜은 전통적으로 Classfull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 할 때 mask 정보를 교환하지 않는다.
EIGRP 라우팅 프로토콜은 Distance vector 계열 프로토콜 중의 하나이며(RIP,IGRP 등) 기본적으로 Classfull로 네트워크 정보를 자동 요약하여 전달을 한다.
Auto-Summary의 장점은 더 작은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서 라우팅 업데이트시에 더 적은 bandwidth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Performance를 향상시켜 준다.
또한 EIGRP 라우팅 프로토콜은 VLSM/CIDR을 지원하여, summarization 하지 않고 실제 네트워크의 Subnetmask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, 수동으로 summarization 할 수 있어서 자신의 네트워크 상황에 맞도록 장비를 구성할 수 있다.
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할때 기본값으로 auto-summary가 되어 classfull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며, auto-summary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no auto-summary command를 사용하여 Eigrp 라우팅을 구성할 수 있다.
I. Topology
II. EIGRP Configuration
1) R1, R2 Eigrp config.
conf t router eigrp 100 network 10.0.0.0 network 172.16.0.0 no auto-summary
=> no auto-summary 로 summary 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10.0.0.0 네트워크 대역에
172.16.1.0 서브넷과 172.16.2.0 서브넷이 전달되도록 구성.
2) R3 Eigrp config.
conf t router eigrp 100 network 10.0.0.0 network 192.168.4.0
3) WWW Eigrp config.
conf t router eigrp 100 network 192.168.4.0
III. Confirm Routing Table
auto-summary로 라우팅 정보를 전달하게 되면 Eigrp는 즉시 summary된 라우팅 정보를 만들고
interface가 null0로 향하도록 설정을 하게 된다. ( 즉 Drop이 되게 된다.)
이는 라우팅 정보 전달시 Looping을 예방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.
<R3 EIGRP Routing table>
그리고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 R3에서는 172.16.1.0과 172.16.2.0은 summary 되지 않는다. 왜냐하면 R3가 auto-summary로 구성되었다고 하더라도 172.16.0.0 서브넷이 R3에 속해 있지 않기 때문이다.
즉 위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WAN 구간으로 172.16.1.0/24 서브넷과 172.16.2.0/24 서브넷이 전달되게 된다.
<WWW Eigrp routing table>
라우팅 테이블에 172.16.1.0과 172.16.2.0 이 summary 되지 않고 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만약 R1 구간과 R2 구간에 수십개 이상의 사설 네트워크 구간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Wan 구간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은 수십개 이상 늘어나게 되어 라우팅 업데이트시에 더 많은 트래픽을 사용하게 되고, 라우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.
혹, R1과 R2에서 auto-summary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겠지만,
그럴 경우에 172.16.1.0 과 172.16.2.0 이 R1, R2에서 모두 172.16.0.0/16 으로 라우팅 정보를 전달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자신과 동일한 라우팅 정보를 받게 되고 루핑 방지를 위한 split-Horizon에 의해서 전달된 라우팅 정보를 받지 않게 되어 통신이 불가능하게 된다.
< R1,R2에서 auto-summary 구성할 경우>
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보면 172.16.0.0/16으로 summary 된 정보가 확인이 되며 interface는 null로 Drop 된다.
R1에서 172.16.2.0/24 라우팅 정보가 있어야 하지만 172.16.0.0/16으로 전달을 받게되었고, 172.16.0.0/24는 자기 자신의 네트워크여서 실제적으로 정보를 받지 않게 되어 라우팅 테이블에는 아무런 정보도 나타나지 않게 된다.
그리고 R3에서는 R1과 R2로부터 172.16.0.0/16을 동시에 받게 되어 172.16.0.0/16으로 로드밸런싱이 된다.
이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앞에서 간단히 설명한 manual summary 이라는 방법이 있다.
IV. Manual Summarization config.
Manual Summurization 은 말 그대로 수동으로 네트워크 정보를 요약하여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.
첫째,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할 Interface를 선택한다.
둘째, ip summary-address eigrp as-number address mask [admin-distance] 로 summarization.
<Command>
interface select interface
ip summary-address eigrp as-number address mask [admin-distance]
* [admin-distance] : (Optional) Administrative distance. A value from 0 to 255
conf t int serial 3/0 ip summary-address eigrp 100 172.16.0.0 255.255.0.0
<WWW routing table>
172.16.0.0/16으로 Summary 되어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이 되었다.
Manual Class의 장점은 Eigrp가 CIDR을 지원하기 때문에 /23, /20 등으로 슈퍼넷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.
위의 예문에서는 172.16.1.0과 172.16.2.0을 172.16.0.0/16으로 Major Network로 Summarization 하였지만,
만약 172.16.0.0 ~ 172.16.7.255 까지의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 할 경우에는
172.16.0.0 255.255.248.0 으로 Summarization 할 수도 있다.
'Cisc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isco Traffic Storm Control (0) | 2019.12.27 |
---|---|
Cisco Switch SSH 접속 설정 하기 (0) | 2019.12.27 |
OSPF Metric-type (0) | 2015.05.15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GUI
- Network
- Logstash
- ELASTIC
- ubuntu
- routing
- Kibana
- Linux
- EVE
- ldap
- NTOP
- ccnp
- ccna
- 코딩
- maximum shards open error
- Elasticsearch
- switch
- Python
- 개발
- ccie
- EVE-ng
- Fortigate
- Ntopng
- pyqt
- CISCO
- 파이선
- Elk
- Security
- CentOS
- nm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